- 2023.03.06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rlligence)
▷ AI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지능이 가지는 학습, 추리, 적응, 논증 따위의 기능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이다.
인간이 지닌 능력들을 인간들의 필요에 의해 인공적으로 구현하며,
로봇 공학, 학습과 지식, 인지 과학, 음성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강인공지능 : 인간처럼 사고하고 행동하는 시스템으로 정해진 규칙 외 능동적으로 학습해 창조를 할 수 있다.
▷ 약인공지능 : 지능을 가진 시스템. 규칙에 따라 학습을 할 수 있다. (창조 X)
AI의 역사
1943년 최초의 신경망 모델
- Warren McCulloch & Walter Pitts 가 출간한 "A Logical Calculus of the Ideas Immanent in Nervous Activity"
1950년 '생각하는 기계'
- 앨런 튜링의 튜링 테스트를 제안
1956년 'AI' 용어 등장
- 미국 다트머스 대학교 학회에서 존 매카시가 용어 사용하며 등장
- 존 매카시, "기계를 인간 행동의 지식에서와 같이 행동하게 만드는 것"
1970년대 시들시들한 인기
- 1969년, 마빈 민스키와 시모어 페퍼트 "Perceptrons" 책 출간 : 단일 계층 신경망의 한계 (1차 AI winter)
- 1974년, 역전파 알고리즘과 전문가시스템의 성장
1980년대 문제 해소와 새로운 문제 제기
- 10억불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정도의 큰 분야
- 1980년, 다층 신경회로망이 도입되면서 단일 계층 신경망의 문제 해소
- 정보처리 능력의 한계와 해소는 실패
- 신경망 이론에 대한 연구 재개, 하지만 지지부진한 성장 (2차 AI winter)
1990년대 목표는 인간지능의 구현
- 문제 해결과 비즈니스 중심의 신중하고 좁은 분야
- 하드웨어의 성장을 업고 더욱 성장한 AI
21세기 이후 인간의 수준을 뛰어넘은
- 2006년, 딥러닝 논문 발표와 비지도 학습 가능
- 2017년, 사람보다 높은 얼굴 인식율과 사물을 더 잘 인식하는 결과를 보임
- 약인공지능 분야서, 빠른 속도로 사람의 능력을 추월할 수 있다는 의식이 확산
- 2022년, ChatGPT의 등장과 AI 전쟁의 시작
AI의 취업 동향
AI는 현재 분야, 학문에 관계 없이 모든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의약, 예술, 사회, 자연 등 모든 분야에서 활용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아가는 만큼 AI의 발전으로 많은 직업들이 인공지능으로 대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AI의 발전으로 과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직업도 생겨나고 있다.
- AI 엔지니어
- 가상화 엔지니어
- 드론 엔지니어
- 딥러닝 엔지니어
- 머신러닝 사이언티스트
- 리서치 사이언티스트
- 로봇 윤리학자 등 ···
고숙련 지능형 서비스 직군과 창의적, 사회적 지능을 활용하는 직업이 부상할 것이다.
또 우리 생활의 모든 것들이 데이터가 되어가고 있는 지금, 데이터 분야의 직업들이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다.
그림 그려주는 인공지능
이젠 사람이 직접 그림을 그리지 않고 키워드 입력만을 통해 인공지능이 그림을 자동으로 그려준다.
다양한 그림 인공지능이 존재한다.
- Artbreeder
- DALL·E
- Dream by WOMBO
- Gaugan2
- Midjourney 등 ···
그 중에서 Midjourney를 예로 들어보자면, AI 명령어를 사용하여 키워드를 입력한 후
전송을 하게 되면, AI가 키워드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린다.
아래의 그림은 Midhourney를 사용해 그린 그림이다.
'AI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지스틱 회귀 모델 구현과 시그모이드 함수 (1) | 2023.03.20 |
---|---|
경사 하강법 (Gradient descent)과 TensorFlow를 이용한 선형회귀 (1) | 2023.03.20 |
선형 회귀와 최소 제곱법 (딥러닝) (0) | 2023.03.13 |
AI 기초 수학 - 함수, 미분과 편미분, 지수와 로그 (0) | 2023.03.13 |
딥러닝. TensorFlow와 Keras (0) | 2023.03.13 |